천둥이 치는 날에는 엉뚱하게 섞인 그림을 타고 어제와 내일을 걸어볼까요.
: 이지현 <Story> (Keep in Touch, 2021. 3. 3 - 3. 20)
조현아
A side-표면: 우연히 마주한 것들을 정지시키며
악당은 사각사각 책장을 타고 날아와 주인공에게 펀치를 날린다. 어느새 우리의 주인공은 TV화면에서 재빠르게 악당을 가격한다. 곧 두 인물은 유튜브에서 ‘순간’ 맞붙는다. 이제 그들의 접전은 GIF로 저장되어 돌아다니고, 이지현의 작품에서 멈춘다.
작가가 손으로 출력한 이미지는 주변 인물들의 개입으로 마주하게 된 과거와 현재의 영상으로부터 왔다. 그는 어머니의 집 TV에서 본 〈사운드 오브 뮤직〉, SNS 플랫폼에서 ‘대마왕 베르트’가 출현하는 〈이상한 나라의 폴〉, 아이가 노트북으로 보고 싶어 했던 〈도라에몽〉 등을 별안간 받아들였다. 그리고 그가 접한 아날로그 시대의 영상은 ‘디지털 풍화’와 신생 플랫폼을 거쳐, 낮은 해상도로 웹에 잔류하며 기존의 맥락에서 이탈한다. 가령, 스튜디오 지브리 및 디즈니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음식들은 ‘#애니먹방’을 달고 GIF로 떠돌며 원래의 줄거리와 다른 일상의 조각, 심지어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과거를 추억하게 한다. 작가는 이처럼 애니메이션과 영화에서 발췌된 GIF를 정지된 형상이나, 프레임이 빠져 군데군데 움직임이 비어있는 그림으로 변환한다. 이 때, 이지현이 선택한 이미지들은 이미 본래의 문맥에서 떨어져 나왔거나, 낯익지만 정확히 어느 영상의 어떤 장면인지 알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캔버스에서 조합되고, 곧 독특한 어법의 문장으로 꿰어진다. 일례로, 〈She〉, 〈Him〉, 〈He〉, 〈Her〉에는 〈사운드 오브 뮤직〉의 마리아와 폰 트랩 대령의 갈등상황이 담겼다. 하지만 네 작품은 서로의 곁에 붙어 하나의 이야기로 연결되기보다, 각기 다른 이미지들 사이에 섞여 새로운 상황의 일부로 소속된다.
이렇게 다른 의미로 얽히는 그림들은 적어도 10년 전의 웹⋅컴퓨터 운영체제에서 만들어져 화질이 떨어진 화면에 가까워 보인다. 이에 더해, 작가는 인간의 손으로 그렸다는 사실을 숨기지 않은 채 ‘회화적’인 터치로 납작한 형상의 변환과정을 노출한다.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문두에 ‘옛날에’가 붙은 다른 이야기들과 마찬가지로 현재에서 약간 빗겨나간 과거의 이미지를 지시하는 듯하다. 그래서 《Story》는 지난 시간으로부터 형성되어온 이미지와 작가의 미감, 그리고 그것을 그래픽 툴과 물리적인 재료로 콜라주한 ‘독립된 짤’로 이루어진 서사다.
작가는 2020년 말부터 그가 ‘갇힘으로 인해’ 발전시킨 드로잉으로 전시의 문을 열었다. 거친 표면의 종이 위에 색연필로 채색해 GIF의 낮은 해상도, 움직이면서 움직이지 않는 레이어의 관계를 탐구했던 전작과 달리 새로 제작된 8점의 드로잉은 동세를 응축한 흑백 만화책의 낱장처럼 눈앞에 나타난다. 19✕25cm으로 규격이 동일한 〈The sound of music 1,2〉, 〈Seal〉, 〈Kite〉, 〈Fish〉, 〈Evolution〉은 영상의 내용이 휘발된 GIF가 되고, 작가의 머릿속에서 생동하는 GIF가 찰나에 멈추어 새로운 서사로 엮이는 과정을 보여준다. 〈고무딱지드로잉: 구슬동자 1,2〉는 캐릭터 딱지를 프로타주하고 오브제의 형상을 연필선으로 따라 그림으로써 익숙한 외형을 불규칙한 흔적으로 남겼다. 8.5✕8.5cm의 드로잉 〈George〉는 작가가 선택한 레퍼런스가 압력에 의해 ‘박살난’ 이미지를 담는다. 이렇게 종이에는 〈사운드 오브 뮤직〉, 〈도라에몽〉, 2014년부터 방영되고 있는 〈신비아파트〉, 노래하는 신승훈의 얼굴, 루프로 돌아가는 진돗개와 물고기 GIF, 두꺼운 종이에 레이저 프린트로 인쇄해 왜곡된 형상이 압착되어있다. 수많은 레퍼런스가 포개어진 드로잉은 작가가 GIF를 손으로 즉석 인쇄하고 잘라 붙여 ‘열화’한 대중적인 시각문화의 합성물이다. 이렇게 전혀 다른 그림체, 서로 다른 시간에서 탄생한 이미지는 점차 기기의 스크린에서 3차원으로, 뜬금없이 조합되어 새삼스럽게 새로운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입는다.
가로 세로 규격이 모두 일치하는 작가의 회화는, 작업 과정과 레퍼런스가 웹으로부터 온 것과는 달리 유화와 캔버스라는 고전적인 쌍으로 구현되었다. “크림처럼 흐르는” 유화와 울퉁불퉁한 천은 깔끔하게 떨어지는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를 정교하게 옮기기를 쉬이 허용하지 않는다. 색채 역시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부딪히며 버벅거리는 느낌을 준다. RGB 방식의 이미지를 유화로 그려냈을 때, 저채도에서 이따금 RGB 색상이 번뜩일 때 보는 이는 불편한 충격을 받는다. 이렇게 고르지 않은 선과 색, 그림의 중심에서 뭉개지고 모자이크 처리된 이미지는 또 한 번 즉흥적인 파쇄와 변환의 흔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말을 전한다.
더불어, 각 캔버스에 붙은 제목은 책으로 전해지던 옛 이야기뿐만 아니라 우리가 평소에 쓰는 짧은 단어들이다. 이들은 쉽게 이해되는 평범한 어휘이지만, 그림의 한 부분처럼 너무 낯익어서 오히려 화면을 부연하지 않는 수수께끼의 낱말로 남는다. 그러나 괜찮다. 전시는 작품으로부터 파생되는 당신의 생각들을 그만의 의미가 있는 이야기로 들어주기에.
B side-이야기: 앞에서 전하지 못한 말들
만화가 이야기에 기초를 두고 있는 것이라면, 또 어떤 이야기를 짧지만 확고하게 드러내는 기능이 있다면, 이번 전시는 작가의 삶을 그 이면에 담아낸 ‘만화적’인 이야기라고 말할 수 있다. 작가는 어린 시절 남동생과 함께 〈드래곤볼〉을 읽으며 피콜로와 손오공이 나오는 게임을 했다. 돌고 돌아 그림을 시작한 후, 그는 갑자기 불효녀의 스토리, 며느리의 스토리, 엄마의 스토리 안에서 그리는 자로서의 정체성을 이행하는 긴 퀘스트를 짊어지게 되었다.
첫 번째 전시 《GET OUT》(2019, 가변크기)에서 선보인 작품들은 GIF를 직접적인 모티브로 삼아 도출되었다. 아이와 한 공간에서 머물며 겪어내야 했던 “무시간성”은 작가에게 맥락과 전개 없이 무한히 루프되는 GIF의 속성처럼 생각되었을 것이다. 이지현이 활동의 터전을 옮기고 시작한 두 번째 개인전 《ORION》(2020, 전시공간)은 작가가 잡아챈 GIF의 정지된 프레임이 화면에 안착해 독자적인 이미지와 물성으로 변환되는 기점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 전시 《Story》는 그동안의 시간에서 작가가 축적한 온⋅오프라인 이미지를 다양한 매체의 질감으로 전달하며 그의 경험을 자연스럽게 풀어낸다. 그렇기 때문에, 세 번째 이야기는 자신을 지극하게 투영한 형상도, 만화 주인공처럼 막 활약을 시작하는 들뜬 모습도 아니다. 이는 오히려 한 번의 역경과 반짝이는 점프를 성공한 화자가 넌지시 들려주는, 이제는 너무 아프지도, 너무 부풀어 있지도 않은 작가가 경험과 차용을 뒤섞어 만든 서사다.
이지현은 세 편의 이야기를 이끌어오면서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서 해왔던, 평범한 요소들을 조합해 색다른 시각을 만드는 일을 지속했다. 특히 그의 신작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만화, 동화책, 장난감 속에서 살며, 아이와 함께 스마트폰과 TV화면으로 보는 방법을 다시 연마한 결과다. 어린 타자와 지내며 재차 성장하고 있는 작가는 이제 그들이 보는 것들을 자르고,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미지에 변화를 주는 등 심리적, 물리적으로 가까운 ‘만화적 스토리’를 일상적인 행위로 다시 구성한다. 물감층 아래에 흐르는 작가의 여정, 로맨스, 다툼을 ‘내색하지 않은 채’, 표면에서는 다른 이야기를 발견하도록 제안하는 전시는 그가 처한 상황을 유영함으로써 써낸, 미술과 생활 그 사이의 시간에서 고요히 요동하는 이야기로 남는다.
On Stormy Days, Shall We Walk the Days of Yesterday and Tomorrow Over Blended Paintings?
: Jihyeon Lee Story (Keep in Touch, 2021.3.3 – 3.20)
Hyunah Jo
A Side – Surface: Pausing Coincidental Encounters
Rustling down the bookshelf, the villain throws a punch towards the protagonist. Before we know it, we see our protagonist counter against the enemy on the TV screen. Soon, these two figures face off for a second with each other on YouTube. Now, their match is transferred into GIF files repeatedly saved and spread online, eventually stopping at Jihyeon Lee’s paintings.
The hand-printed images by the artist derive from videos of the past and present under the influence of associates. Sources such as The Sound of Music seen through the TV at her mother’s, Paul’s Miraculous Adventure where Belt Satan appears, floating on social media, Doraemon the artist’s child wanted to watch through her laptop, suddenly admitted themselves into Jihyeon Lee’s life. After enduring ‘digital withering’ – the phenomenon of deteriorating image quality through constant capturing and sharing online – and emerging platforms, the videos from the analog era remain on the web in low resolution, deviating from their original context. For instance, food images from Studio Ghibli and Disney animations are shared online in GIF files with #animationmukbang generating a piece of life out of the synopsis, even into reminiscing memories we did not experience. Likewise, Jihyeon Lee converts these paused GIF images from animations and films to paintings with blanks caused by omitted frames of movement. Here, the selected images are either already out of preexisting contexts or familiar yet, difficult to pinpoint where the scene originated. The four paintings, She, Him, He, and Her, each bear the conflicts between Maria and Captain von Trapp from The Sound of Music. Rather than forming a sequence in an array of another, they blend into different images, becoming part of a new narrative.
These diversly intertwined artworks closely resemble screens in poor quality created from operating systems dating back at least ten years. Moreover, Jihyeon Lee does not hide the fact they are painted by human hands, expos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flat shapes adding a pictorial touch. Because they are not perfect, her works seem to indicate images of the past, slightly averting the present, just like other stories with ‘Once upon a time’ inscribed on the beginning. Thus, Story is a narrative consisted of images accumulated from the past, the artist’s aesthetic sense, and independent jjals (the Korean slang for memes in image files) created by collaging the prementioned elements using graphic tools and physical materials.
Jihyeon Lee opened her exhibition with drawings developed due to confinement, during the end of 2020. Unlike her previous works, which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yet immobile layers with colored pencils on rough paper, the newly produced eight drawings reveal themselves like sheets of black and white comic books where motions are condensed. In the identical size of 19x25cm, The Sound of Music 1, 2, Seal, Kite, Fish, and Evolution displays the process of the contents of the GIF becoming volatile, and the GIF in motion within the artist’s head stopping in an instant and weaving into a new narrative. Creating frottage of a character ddakji(a piece of folded paper or rubber used in games to flip each other) and tracing the figure with pencils, in Rubber Ddakji Drawing: Beadman 1, 2, familiar exterior remains as a trace in irregular patterns. In George, the 8.5x8.5cm drawing contains the images of the reference selected by the artist, shattered under pressure. Likewise, numerous images; The sound of Music, Doraemon, Shinbi Apartment, the singing face of Shin Seunghun, GIF of a Jindo dog and a fish in a loop, are compressed into distorted figures laser printed on thick paper. The drawings where numerous references overlay over another are a complex of popular visual culture in which the artist deteriorated the GIFs by hand-printing, cutting, and pasting them. Randomly combining these completely different drawing styles and images born from separate timelines, they gradually move on from the screen of a device to three-dimension, gaining the possibility of a new narrative.
While paintings’ size specifications are identical, Jihyeon Lee materializes the images into oil paintings and canvases, a classical pair unlike the digital aspect of her work process and reference. The cream-like oil color and uneven cloth do not easily allow conveying clean-cut computer graphics in detail. The color schemes also seem to be colliding and conflicting as if they are stuttering. When materializing RGB-style images into oil paintings, there is an uncomfortable jar as the RGB colors flash from time to time in low chroma. Amid the uneven lines, colors, and painting, the blurred and pixelated images once more deliver unfamiliar speeches as a trace of impromptu fragmentation and transition.
Moreover, the titles of each canvas are not only from handed down old stories but also short words we use daily. These are easily comprehensible ordinary words but, in a way, too familiar that it remains as an enigma that does not specify what is on the screen. However, it is okay. The exhibition listens to you, the viewer’s thoughts derived from the artworks as a meaningful narrative in itself.
Side B – Story: Postscript
If a story is a foundation of a cartoon, and if comics can reveal a short but firm plotlin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is exhibition is the cartoonish story that contains the other side of Jihyeon Lee’s life. As a child, the artist read Dragon Ball with her younger brother and played games featuring Piccolo and Son Goku. Finally deciding to paint after wandering a while, Lee suddenly had to bear a long quest of fulfilling the identity as the illustrator of the stories of an undutiful daughter, a daughter-in-law, and a mother.
Presented in the first exhibition, GET OUT (2019, Dimension Variable), the artworks directly derive from GIF images. The non-temporality Lee had to endure with her child would have been lik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IF: an endless loop without any context or development. After moving the studio, the second exhibition Orion (2020, All Time Space), became a transitioning point where the captured frame of the paused GIF landed on the screen into an original image and materiality. Lastly, Story (2021, Keep in Touch) unravels the artist’s experience conveyed through the accumulated on/offline images into various mediums and textures. That being so, this third story is neither a fully dedicated self-projection nor has the excitement of the protagonist, about to start an adventure. It is more of a tale mixed with various references, narrated by the artist who succeeded in jumping over a hardship on the experiences that are no more hurtful or bloated.
Steering three volumes of stories, Jihyeon Lee continues to create unconventional perspectives by combining mundane elements as an artist. Her new works are the results of brushing up the way of seeing smartphones and TV screens by living with kids’ cartoons, fairy tale books, and toys during the Corona pandemic. Sharing life with a younger being, the artist herself is achieving personal growth, breaks down the things they see and alter images with applications, reassembling cartoonish stories that are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familiar into daily activities. This exhibition suggests the viewers discover a new tale on the surface, while the journey, romance, and struggles of the artists flow under the layer of paint unnoti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