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현 <LINK> (Entry gallery, 2022. 2. 10 - 3. 31)
최다영
이지현의 회화엔 익숙한 이미지들이 반복적인 분할과 켜켜이 겹쳐져 있는 상태로 등장한다. 화면은 인터넷에 흘러 다니는 자연의 이미지, 익숙한 애니메이션 캐릭터들로 채워져 있다.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수 많은 이미지들은 링크되어 순간 이동을 시작한다. 이 찰나의 순간들을 포착하고 화면에 박제하려는 작가의 의도는 바로 그 짧은 순간의 시간성 속에 잘 숨겨져 있다.
웹 환경 속 페이지가 열렸다 닫히고, ‘바로가기’가 실행되는 순간들은 찰나의 시간성 뿐만 아니라 세상 어디든 클릭 한번으로 링크 될 수 있는 ‘하이퍼’한 영원의 공간성도 함께 부여 받는다. 링크 행위는 단순히 사용자가 링크하는 즉시 다른 파일을 가져다 그 내용을 보여 준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작가는 ‘즉시’라는 순간 뿐만 아니라 공간도 함께 잘라 낸다. 화면 속에 이런 찰나를 캡쳐해 늘어놓고, 켜켜이 쌓아 올려진 이미지를 통해 자신이 머무는 시공간을 표현하는 중이다. 평면적으로 잘려나간 이미지는 그 순간을 표현하지만 그 순간들이 모여 시간이 형성되면 움직임을 드러난다. 그 움직임은 다시 아주 짧은 시간에 포착되는 이미지로 분할한다. 작가는 GIF파일 만드는 과정을 모티브 삼아 움직이는 순간을 화면에 캡쳐 하여 드러내고 그 위에 불현듯 떠오르는 이미지를 심어 다시 움직임을 반복 시키고 있다.
/
그는 휴식이 필요할 때 ‘호수’를 링크 했고, 변화가 요구될 때 ‘요시’1를 링크 했다. 자연의 이미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소개되는데, ‘Lake’(2021)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적 없는 공간이다. 휴식이 간절할 때 찾게 된 인터넷 ‘호수’ 이미지는 캔버스 위로 올라와 스스로 자기증식 되고, 시공간성을 부여 받는다. 하지만 이내 뜬금없는 ‘요시’의 등장을 통해 변화가 시작된다. ‘Picnic’(2021)에서 요시는 자유자재로 화면을 공유하고 점유해 간다. 힘을 가진 막강한 존재로서의 등장을 예고한 요시는 끊임없이 생동하고 있는 과정을 설명하는 듯 다른 이미지를 침범하고 뒤엉키고 확대되다 축소하며 변화한다. 이 과정들 속에 ‘Boat’(2021) 와 ‘Voyage’(2021)에서는 요시라는 캐릭터는 확대되다 못해 픽셀화되어 시각적으로는 형태를 소멸해 가지만 다시 한번 정체를 드러낸다. 자신의 아웃라인으로 크롭되어 한번은 빨간머리 앤을 통해, 한번은 자신의 분해되어가는 픽셀을 통해 드러나진다. 여기서 작가는 픽셀화 된 요시에서 다시 요시의 아웃라인으로 크롭 되는 행위는 실재하는 작가의 미술 하는 자아와 연결시킨다.
즉자적으로 튀어나온 개성 강한 이미지들은 작가의 삶과도 연결되어 있다. 링크되는 순간의 영원과 공간으로 전환 되는 찰나는 바로 현실에서의 양육자의 정체성을 조우하는 순간들이라고 작가는 설명한다. 작가가 포착한 화면 속에 개인의 삶의 순간과 흔적이 함께 겹쳐지는 것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작가의 아이가 색칠놀이 했던 종이와 자신이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를 그려 함께 꼴라주한 드로잉 작품들을 통해서 더욱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작가에게 부여된 삶과 그 흔적들은 평면 속에 작가에 의해 링크되는 순간이 포착되어 서로 수직적인 관계가 아니라 병치되어 뒤섞이는 리좀적인2 관계를 형성한다. 이것은 서로가 서로를 배경으로, 겹겹의 레이어들과 함께 엉키고 뒤섞여 모호해지기 시작해 뜬금없는 캐릭터들과 함께 변주와 변모를 거듭하게 됨을 설명한다. 누적된 순간들과 그 틈을 노리는 이미지들은 서로 비선형적인 서사 구조를 드러내고, 이것은 작가 개인의 삶과 삶 속의 새로운 관계로 인해 다양하게 의미가 부여된 내러티브들을 주목하게 하게 만든다.
내러티브는 전시의 시작점에 있는 호수 이미지로부터 시작하도록 전시장 안에 설계되어있다. 그러나 ‘Lake’(2021) 에서 시작해 ‘Seven’(2022)로 이어지는 긴 여정은 사실 어디가 시작이고 어디가 끝인지 명확하지 않다. 마치 1년 간 긴 작업 시간을 거쳐 탄생한 작업들은 조각난 이미지들과 찰나를 기록해 늘어놓은 화면 뿐만 아니라, 전시와 전시장에서도 이러한 관계의 매커니즘을 작동시킨다. 서로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사실 설치된 작품과 작품 사이의 물리적인 틈 조차 그냥 방치되지 않고, 페이지에서 페이지로 연결되는 동작을 하나하나 화면을 분할하여 위치시키고 각 틈새에도 그 관계성에 의해 관섭받는다.
1 마리오 시리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요시 ヨッシ〡. 요시 종족은 마리오와 루이지의 은인이다. 요시가 등장하는 모든 액션 플랫 포머 게임에서 빠지지 않고 나타나는 능력은 혓바닥으로 내밀어 뭔가를 삼키는 능력이다. 대부분의 적을 집어삼킬 수 있으며, 뱉을 수도 있다.
2 리좀(rhizome)은 가지가 흙에 닿아서 뿌리로 번식하는 땅속 줄기 식물을 말한다. 가타리와 들뢰즈의 책 (mille plateaux, 1980) 에서 다루는 내재적이고 유목적인 사고방식을 상징하는 단어인데, 여기서도 가타리와 들뢰즈가 설명하는 리좀의 의미를 사용하였다. 리좀은 어떤 것이 무엇과 관계하는 가에 따라 본질이 달라지고 관계의 질이 달라진다는 것 인데, 끊임없이 접속되고 분기되는 뿌리줄기의 특징처럼 특별한 관념없이 다양한 것의 차이와 복수성을 다원화하고 새롭게 번식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지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캐릭터의 등장과 캐릭터 사이의 관계성이 위에서 말하는 ‘리좀’ 의 의미와 유사한다. 형이상학적인 위계 체계에서 나타나거나 근거있는 등장이 아닌, 아무때나 불현듯 나타나는 상태, 그리고 갑작스럽게 뒤섞이고 엉키는 관계는 다양성의 측면을 부각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복수적인 역동성을 자아낸다.
/
우리가 흔히 ‘링크’라고 하는 단어는 넓은 의미에서 ‘연결하다’을 뜻하지만, 그가 이루고자하는 즉시적 행위 는 시공간을 넘나들고, 비선형적이다. 작품을 관람하는 자와 작품이 설치된 전시공간 속에서 그들 간의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설명되고 완성되는 것이다.
: Jihyeon Lee LINK (Entry gallery, 2022.2.10 – 3.31)
Michelle Choi
Images appeared in Jihyeon Lee’s paintings are familiar yet repetitively divided and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Images of nature floating through the internet and intimate characters from TV animations and video games are filled within the flat space of the canvas. Countless images one can easily obtain from the internet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begin to teleport. The artist’s intent to capture the moment and have them stuffed on the canvas are well hidden in the temporality of the instant.
Not only the temporality of the instant but the ‘hyper’ spatiality of eternity is granted to the moments when web pages are opened and closed, and a ‘bookmark’ is executed because one can explore to anywhere in the world with a click of a mouse. While an act of link simply has a feature that immediately brings another file and presents its content to a user, however the artist cuts not only the ‘immediate’ moment into pieces but also the space. The artist is showing the space-time she is staying by laying out these captured moments within the canvas and overlapping the images in layers. Images that are cut two-dimensionally represent moments but when those moments are gathered and time is formed, a movement is shown. The movement again splits into images captured in a very brief time. The artist utilized the process of making a GIF file as a motif to capture and reveal the motion within the screen and implants the image emerged instantaneously on it to repeat the movement again.
/
When the artist needed a break, she linked to ‘lake’ and to ‘Yoshi’1 when there was a demand in change. Images of nature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by this exhibition, and Lake(2021) is a space where the artist has never experience herself. The image of the ‘lake’ discovered from the internet when a rest was desperately desired, rises onto the canvas to self-replicate and finally is given the space-time. However, modification shortly initiates with the unexpected emergence of ‘Yoshi.’ In Picnic(2021), Yoshi easily shares and occupies the screen. Yoshi, who heralded the appearance as a powerful being with capability to invade and tangle with other images and alters as it enlarges and shrinks as if it is explaining the process of being continuously animated. Through these processes, Yoshi becomes eventually pixelized once it cannot enlarge itself and visually extinguishes its form, but once again reveals its identity in Boat(2021) and Voyage(2021). It is cropped into its own outline and unveiled once through ‘Anne of Green Gables’ and once through pixels that disassemble itself. Here, the artist connects her ego as an existent artist to the act of cropping back to Yoshi’s outline from the pixelized Yoshi.
Images with strong individuality that emerged independently are also related to the artist’s real life. The artists explains that the moment being converted to the eternity and space of ‘link’ action are identical with moments when she encounters her identity of upbringing a child in reality. One could peek into the moments and traces of the artist’s personal life overlapping on the screen she captured, which is observed even more directly through the drawings that the artist collaged cartoon characters she drew for her child and papers from his coloring book.
The life assigned to the artist and the traces of it form rather a rhizome2 relationship that are juxtaposed and mixed than a vertical relationship in a moment being linked and captured on a flat screen by the artist. This explains that with each other in the background, they begin to get entangled and mixed up with multiple layers and become ambiguous, and then repeatedly change and transform with random characters. The accumulated moments and images seeking for the gap expose nonlinear narrative constructed between them and this intrigues one to be attentive to the narratives that have been granted various meanings by the artist’s individual life and new relationships in it.
The narrative is designed inside the gallery to begin with the image of the lake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exhibition <LINK>. However, it is not clear where the long journey from Lake(2021) to Seven(2021) literally begins and ends. The works finished after a long year of endeavor operate the same mechanism of this relationship not only on the screens archived and lined up with fragmented images and moments, but also on exhibition and its space. By creating a connecting link between each other, even the physical gap between the installed works is rather located one by one and divided screens considering the movements from one page to another as it is governed by its relationship than neglected.
1 The character Yoshi (ヨッシー) in Super-Mario(Nintendo) series. The Yoshi tribe is a savior to Mario and Luigi brothers. Yoshi’s ability to appear in all action platformer video games is to stick out his tongue and swallow anything. Yoshi can swallow most of enemies and spit them out as well.
2 Rhizome refers to a subterranean plant stem that sends out roots and shoots from its nodes. It is a word that symbolizes the intrinsic and nomadic way of thinking covered in Guattari and Deleuze's book <Mille plateaux, 1980>, which also adopted the same meaning of the Rhizome explained by them in this context. It means that nature and quality of relationship vary depending on what something is related to, and that differences and pluralities of various things can be diversified and reproduced without any special idea,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ntinuously connected and branched roo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s revealed in Jihyeon Lee’s work is similar to the meaning of ‘Rhizome’ mentioned above. A state that appears at any time, not in a metaphysical hierarchical system or a well-grounded emergence, anda sudden mixed and tangled relationship highlights the aspect of diversity and creates a new relationship, creating multiple dynamics at the same time.
/
The word ‘link’ often means ‘connecting’ in a broad sense, but the immediate action the artist desires to achieve crosses through space-time and is nonlinear. It is comprehended and completed only when it is actively performing the rol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pace where works are installed.